0

제갈양의 라이벌(3) – 사마의

2003년 7월 21일



사마의

하내 온 사람으로 자는 중달(仲達). 매의 눈초리에 이리와 같이 돌아보아 그 생김부터 범상하지 아니하였다. 조조 밑에서 승상부 주부로 있으면서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제갈양이 기산을 나갈 때도 그를 꺼려 반간계를 써서 조정에서 멀리 보냈었는데, 뒤에 복귀하자 과연 좋은 적수로서 대전하였다. 호로곡에서는 화공을 받아 삼부자가 함께 죽게 된 것을 갑자기 비가 내려서 살아났고, 오장원 전투에서는 천문을 읽어 지연작전으로 제갈양이 죽기를 기다렸다. 위주 조예가 죽은 뒤 조방이 서고, 조상이 병권을 쥐게된 후 자신을 견제하자 병을 핑계하여 그의 눈을 속였다가 갑자기 거사하여 조상을 몰아낸 뒤 모든 권력을 손아귀에 쥐었다. 승상이 되어 구석을 더하였으며 병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뒤에 손자 사마염이 제위를 찬탈하고 진을 세운 뒤 선제(宣帝)라 시호하였다.

진정한 제갈양의 라이벌

주유고 육손이고, 결국은 제갈양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이 사람에게 어찌 비길 수 있겠는가. 제갈양의 평생 소원이었던 중원 정벌의 꿈을 6번이나 좌절시킨 장본인이며 결국에는 자신이 중원을 차지하여 통일해버린 사람이니 말이다.

주유나 육손 같은 변방의 장수(?)가 아니라 결국에는 중국을 차지할 사람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사마의에 대한 연의의 묘사는 상당히 조심스럽다. 일단 제갈양이 내놓고 두려움을 표한 거의 유일한 인물이며 (다른 장수들을 말할 땐 거의다 “내 손바닥 위에 있지~” 이런 투였었다) 실제로 제갈양의 직접적인 실패는 거의 사마의로부터 비롯되었다. 연의에서야 호로곡에 갇혀 거의 죽게 생긴 사마의 삼부자가 때맞춰 내린 폭우로 구사일생하여 도주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어차피 지어낸 얘기라는 게 사실이라면, 제갈양은 사마의에게 시원한 카운터 펀치 한 번 못먹여보고 평생 끌려다녔다는 황당한 결론을 내려도 아무 할 말이 없다는 말이다.

지략의 우위인가?

하지만 나는 사마의가 제갈양보다 지략이 위에 있었다고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죽은 공명이 산 중달을 달아나게 했다”는 고사가 아니더라도, 창작의 냄새가 짙게 풍기는 “공성의 계”를 굳이 끌어들이지 않더라도, 사마의가 제갈양에게 맞서서 지략의 우위를 점해 승리를 이끌어낸 기억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사마의가 제갈양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은 일단 병력의 우위였고, 촉의 공격을 방어하는 입장에서 지형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잇점도 감안해줘야 한다. 실제 그랬는지 연의에서 많이 눈감아준 것인지 확인할 길은 없지만, 제갈양은 사마의에게 기습을 당하여 가정을 뺏긴 첫번째 정벌 이후로 사마의에게 완패를 당하여 후퇴한 적이 한 번도 없다는 것도 역시 참고할만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사마의가 지략도 없는 형편없는 장수였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병력과 지형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사마의가 작전을 써도 훨씬 편하게 할 수 있었고, 병력이 딸리면서도 정공법만 고집해야하는 제갈양으로서는 활용할 수 있는 작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았다는 것이다. 만약 사마의가 촉의 승상이고 제갈양이 위의 장군이었다면 아마 제갈양은 촉나라를 산뜻하게 밀어버리고 통일을 이룩했을지도 모를 정도로 둘의 처지는 분명히 아주 달랐다.

그래서?

이런 가정을 해보게 된다. 사마의와 제갈양이 똑같은 조건에서 서로 싸우게 되었다면 누가 이길까…? 내 생각도 그렇고 일반론도 그렇고 “그렇게만 된다면 사마의가 제갈양한테 안되지!”가 정답이 될 것이다. 사마의가 제갈양의 1차 정벌을 물리친 뒤 야심차게 계획한 오정벌에서 육손에게 코가 깨지고 올라온 점을 상기시키면 특히나 그렇다. 그럼 사족같은 간단한 의문 하나 던져보고 끝내자. 제갈양은 왜그렇게 사마의를 두려워한 것으로 묘사되어있었을까? 아마 역사는 결국에는 승자의 기록이라서 그럴 게다.